본문 바로가기
임신준비부터 출산까지/민조이가 정리한 임신 출산 꿀혜택

백일해 대유행! 부모, 아이 모두 예방접종 필수

by miijii 2025. 3. 26.

최근 백일해가 급증하고 있어 아이와 부모 모두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특히, 예방접종의 중요합니다. 영유아부터 성인, 임산부에 이르기까지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백일해는 비말 감염되므로 손 씻기, 마스크 착용과 같은 기본적인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며, 백신 접종을 통해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백일해: 백일해는 아주 심한 기침을 오랫동안 하는 병이에요. '백일'이라는 이름처럼, 기침이 100일 가까이 계속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1. 🔍 백일해 발생 현황 및 인식 강화
현재 한국에서 백일해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올해 한 달에 200명 이상 발생하고 있다.
5월에는 환자 수가 거의 900명에 달하며, 20일 동안에 1100명에 가까운 환자가 발생하여 많은 이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백일해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관련 정보와 예방 방법에 대해 숙지해야 한다.

2. 🤧 백일해의 증상과 진행 단계
백일해는 심한 기침이 특징이며, 기침이 오래 지속되는 질병이다.
백일해는 3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1단계는 초기 감기 증상이 나타나 구분이 어렵다.
2단계에서는 기침이 본격적으로 악화되며, 매우 심한 기침을 하게 된다.
특징적으로, 기침 끝에 날카로운 숨의 소리가 들리며, 이를 후핑 기침이라고 부른다.
기침으로 인해 침을 흘리거나 토하기도 하며, 숨쉬기가 점점 힘들어질 수 있다.


3. 🦠 백일해와 그 위험성
아기들은 기침이 심하지 않을 수 있지만 숨쉬기 힘들어 얼굴이 파랗게 변하는 경우가 있다.
백일해는 폐렴이나 뇌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어린 아이들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청소년이나 어른들은 가볍게 앓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어린이도 심각한 기침 없이 백일해에 걸릴 수 있으며, 심각하게 앓을 수 있다.
백일해가 의심될 때는 수동적으로 치료받기보다는 기침 발작이 생기기 전에 최대한 빠르게 항생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4. 🦠 백일해 예방과 접종 방법
항기를 치료하면 합병증과 병의 전파를 줄일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은 DPT 백신을 24개월에 세 번 맞고, 15개월과 18개월에 추가 접종을 하며, 4세에 두 번째 추가 접종을 해야 한다.
11세에서 12세 사이에 TDAP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에는 몇 년마다 TD 또는 TDAP을 재접종하는 것이 권장된다.
11세 이후 TD 백신을 맞지 않은 경우, TDAP 백신을 빨리 접종받아야 한다.
임신부는 매 임신마다 Tdap 백신 접종이 권장되며, 아기를 만날 최소 2주 전에는 백일해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5. 🦠 백일해 면역과 접종의 중요성
백일해 예방접종의 효과는 평생 동안 지속되지 않으며, 보통 4년에서 12년 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10년마다 tdap를 포함한 접종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접종을 했더라도 백일해에 걸릴 수 있지만,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증상이 보다 경미하다.
또한, 이전에 백일해에 감염된 사람도 면역이 지속되지 않아 접종이 필요하다.
백일해에 걸린 경우 기침 증상이 있으면 의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6. 🩺 백일해 치료 및 예방 조치
백일해에 걸린 경우는 심한 경우 2번의 치료를 권유받을 수 있다.
심하지 않은 경우는 집에서 격리하고 항생제로 치료하면 된다.
경리는 항생제 치료를 5일 동안 받는다.
치료 중에도 숨이 차거나, 피부가 파란색으로 변하거나, 심한 기침이 지속될 경우 의사의 진료를 다시 받는 것이 중요하다.
비말 감염이 주된 전파 경로이므로, 집에서 격리할 경우 가족 내 전파를 막기 위해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

7. ⚠️ 백일해 유행 및 백신 접종 필요성
백일해 백신 접종은 꼭 해야 하며, 이를 잊지 말아야 한다.
현재 백일해 환자는 2018년보다 훨씬 많으며, 5월부터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다.
6월 20일까지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면, 5월보다 거의 두 배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은 가능한 빨리 백일해 관련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백일해 감염 후 치료 및 관리 방법

1. 치료 방법
* 항생제 치료: 백일해 의심 시 항생제를 조기에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기침 발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합병증을 줄이고 병의 전파를 막을 수 있어요 .
* 대증 치료: 심하지 않은 경우 집에서 격리하며 항생제 치료를 진행해요 .

2. 격리 및 관리
* 격리 기간: 항생제 치료 후 5일 동안 격리해야 해요 .
* 개인 위생: 백일해는 비말 감염이 주된 전파 경로이므로, 손을 자주 씻고 마스크를 착용하여 가족 내 전파를 막는 것이 중요해요 .

3. 추가 진료가 필요한 경우
백일해 치료 중이라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해요.
* 숨이 차거나 피부가 파랗거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경우
* 기침이 매우 심하거나 계속해서 빠르게 기침하는 경우
* 물을 잘 먹지 못하는 경우

4. 예방 접종의 중요성
* 접종 대상: 영유아는 DTaP 백신을 2, 4, 6개월에 3회 접종하고, 15-18개월과 4-6세에 추가 접종을 해요 . 11-12세에는 Tdap 백신을 접종하고, 이후 10년마다 Tdap 또는 Td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아요 .
* 임산부 접종: 임신부는 매 임신 시기마다 27-36주 사이에 Tdap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권장돼요 .
* 미접종자: 11세 이후 Tdap 백신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청소년이나 부모는 Tdap 백신을 빨리 접종해야 해요 .

5. 백일해 유행 상황의 심각성
현재 백일해 유행은 2018년보다 훨씬 심각하며, 특히 최근 환자 증가세가 가파르므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해요 .

1단계
1~2주간 지속, 감기와 구별 어려움

2단계
1~6주간 지속, 심한 기침 발작, "컹컹"거리는 소리 동반

3단계
회복기, 기침 횟수 점차 감소

![A child coughing severely, with a worried parent looking on. The scene is set in a dimly lit room, emphasizing the child's discomfort. The style is realistic, aiming to capture the raw emotion of the moment.](1648104839)
백일해는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예방 접종과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 . 이미 감염되었다면, 적절한 치료와 격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타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댓글